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avascript41

[JavaScript] 화살표 함수에 대해서 오늘은 화살표 함수에 대해서 공부했다. 화살표 함수는 보통의 함수 표현식을 축약한 형태로 표시해준다. // 보통의 함수 표현식 const add = function(x, y){ return x + y } // 화살표 함수 표현식 -> return 생략 가능 (이때는 {} 사용 X ) const add = (x, y) => x + y // ()도 생략 가능 // const add = (x, y) => {x + y} -> undefined 또한 화살표 함수는 클로저에서 아주 유용하다. // 일반 클로저 함수 const adder = function(x) { return function(y){ return x + y } } adder(2)(4) // 6 // 화살표 함수로 나타낸 클로저 함수 const add.. 2020. 10. 20.
[JavaScript]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이란? 오늘은 JS에서 싱글톤 패턴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싱글톤 패턴(Singletone Pattern)이란 객체 생성 패턴 중 하나로 전체 프로그램 내에서 하나의 인스턴스만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singletonEx 라는 객체안에 키, 벨류 값을 넣어준다. let singletonEx = { count: 0, increase: function() { this.count++ // 메소드 호출을 할 경우, this는 singletonEx를 가리킨다. }, decrease: function() { this.count-- }, getValue: function() { return this.count } } singletonEx.increase() singletonEx.increase().. 2020. 10. 19.
[2020.10.10] 10월 둘째주 회고록 이번 주는 재귀를 이용하여 JS 내장 함수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반복문으로도 구현 가능한 부분이었지만 재귀를 공부하기 위하여 재귀로 구현하였다. 반복이 가능할 것 같은 부분을 재귀 함수 내부에 넣어 놓은 뒤 if문으로 탈출 조건을 걸어주고 계속 자기 자신을 호출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JSON.stringity() 함수와 Document.querySelector() 함수를 구현해보았다. 처음에는 구조를 이해하고 로직을 짜는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구조를 이해하고 나니 반복시켜야 할 구간이 보였다. 그래서 그 구간을 함수 바디에 넣어주고 마지막에 탈출할 부분을 따로 만들어주었다. 원래의 내장함수와 똑같이 구현하기 위하여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았다. 타입별로 구현을 다르게 해준다던지.. undefine.. 2020. 10. 10.
[JavaScript] element.childNodes, element.children, Node.contain 오늘은 element.childNodes, element.children, Node.contain에 대해서 공부했다. 동적으로 생성한 html 요소를 조회하는데 유용한 기능들이었다. element.childNodes 는 주어진 요소의 자식 노드 모음( collection )을 반환해주고, element.children은 호출된 요소의 모든 자식 노드의 elements를 담고있는 실시간 HTMLCollection을 반환한다. (비 요소 노드 제외) childNodes와 children의 역할이 헷갈려서 둘의 차이를 알아봤는데 childNodes의 경우 요소가 아닌 비 요소 노드도 포함해주는 반면, element.children은 요소 노드만 배열 형태로 반환해준다. (HTML DOM은 노드(node)라고 .. 2020.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