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script41 [JavaScritp] Spread syntax (...) 전개 구문 오늘은 Spread syntax (...) 전개 구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전개 구문을 사용하면 함수에 인수로 배열이나 문자열 같은 반복 가능한 값들을 하나씩 넣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특히 매개변수로 인수를 여러개 넣어주고 싶을 때 또는 동적으로 매개변수를 넣고 싶을 때 전개 구문을 사용하면 좋다. 처음 보는 문법이라 조금 헷갈렸지만 예제를 보면서 이해했다. // 기본 사용법이다. // myFunction(...iterableObj); let num = [1, 2, 3, 4]; console.log(...num); // 1, 2, 3, 4 function myNum(x, y){ if(x > y) return x; else return y; } console.log(myNum(...num)); //.. 2020. 9. 15. [JavaScript] 배열 내장함수 (1) Array.prototype.join() 오늘은 배열의 내장함수 중 하나인 join() 함수를 알아보았다. join()을 이용하면 배열의 모든 요소를 연결해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 수 있다. 특히 문자열로 이루어진 배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 때 유용한 것 같다. let myUser = ['name', 'age', 'address']; console.log(myUser.join()); // name,age,address console.log(myUser.join('')); // nameageaddress console.log(myUser.join(' ')); // name age address join() 의 매개변수로 문자를 넣어주면 각 요소들 사이에 구분문자를 넣어준다. 이걸 몰라서 새로운 string 변수를 선언한다음.. 배열의 갯수만큼 f.. 2020. 9. 11. [JavaScript] 객체의 기초 오늘은 객체를 공부했다. 객체는 배열처럼 요소들을 저장할수 있는 Object 인데 배열과는 다르게 Key-Value 가 Pair 방식으로 값이 저장되어진다.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let myUser = { name: 'Leo', age: 25, address: '안양' }; console.log(myUser); // {name: "Leo", age: 25, address: "안양"} 그리고 객체의 값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Dot notation 과 Bracket notation 이 존재한다. let myUser = { name: 'Leo', age: 25, address: '안양' }; // 둘 다 값은 동일하다. console.log(myUser.name + myUser.. 2020. 9. 10. [JavaScript] 배열의 기초 오늘은 JavaScript 문법 중 배열을 다뤄보았다. 배열의 기초와 배열의 내장 함수들을 가볍게 공부해봤는데 이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려니 어려웠다. 그래서 오늘 내가 알게 된 것들을 정리하려고 한다. 배열이란 순서가 있는 값들을 뜻한다. 순서는 Index로 0부터 시작한다. let num = [1, 2, 3, 4, 5]; console.log(num[3]); // 2 // 문자열과 다르게 재할당 가능 num[3] = 6; console.log(num[3]); // 6 // 물론 string을 넣어도 되고 객체를 넣는 것도 가능하다. let animals = ['cat', 'dog', 'elephant', 'Lion']; console.log(animals[2]); // dog let myObj = [{.. 2020. 9. 10. 이전 1 ··· 7 8 9 10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