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67

[JavaScript] apply(), call(), bind()와 this 키워드 오늘은 .apply(), .call(), .bind() 함수와 this 키워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apply() 메서드는 주어진 this 값과 배열 (또는 유사 배열 객체)로 제공되는 arguments로 함수를 호출해준다. call()과 기능이 거의 동일하지만 call()은 인수 목록을 받는 반면에 apply()는 인수 배열 하나를 받는다. bind() 메서드는 호출되면 새로운 함수를 생성한다. bind()의 첫 인자는 this 키워드로 설정하고, 이어지는 인자들은 바인드 된 함수의 인수에 제공된다. 여기서 this는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특수한 식별자로 함수의 범위를 나타낸다고 보면된다. (또는 부모 객체) 설정이 안 되어있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window 객체를 가리킨다고 한다... 2020. 10. 1.
[JavaScript] Array.prototype.sort() 배열 내장함수 - 정렬 오늘은 배열의 내장 함수 중 sort()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sort() 함수를 이용해 배열의 요소들을 쉽게 정렬할 수 있는데 , 기본으로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준다. 또한 sort()함수의 인자로 function을 넣어주면 원하는 형태로 정렬이 가능하다. let array = [1, 4, 2, 5, 3, 6, 7]; array.sort(); // [1, 2, 3, 4, 5, 6, 7]; function compareReverse(a, b){ return b - a; // b - a 값이 양수인지 판별하여 b를 a보다 낮은 색인으로 정렬 (내림차순 정렬) // return a -b; -> a-b값이 음수인지 판별하여 a를 b보다 낮은 색인으로 정렬 (오름차순 정렬) // 만약 a === b 이면 a - .. 2020. 10. 1.
[JavaScript] 배열의 기초 2 - 배열의 내장함수들과 내장 고차 함수 오늘은 배열을 다루면서 각종 내장 함수들을 공부했다. 내장 함수들을 리턴하는 고차 함수를 공부했는데 고차 함수란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들을 뜻한다. 그런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내장 고차함수들이 있었고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다. 잘 알아두면 여러가지로 사용이 가능할 것 같아서 정리해보았다. 1. Array.prototype.filter() Array의 내장 함수인 filter를 이용하면 filter의 인자 값으로 들어오는 함수를 적용하여 true, false를 반환하는데 (적어도 filter는 true, false를 반환하길 기대한다고 한다. ) true로 반환된 요소들만 새로운 배열로 반환해준다. const nums = [1, 2, 3, 4, 5, 6, 7]; const result = .. 2020. 9. 26.
[JavaScript] prototype 프로토타입에 대하여 오늘은 prototype에 대해서 공부했다. MDN을 참고해보니 JavaScript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로 클래스가 없지만 (클래스 키워드를 ES2015부터 지원을 하지만 문법적인 양념일 뿐,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라고 명시되어 있다.) 프로토타입과 함수를 이용하여 클래스와 비슷하게 쓸 수 있다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객체나 함수에 속성을 넣어 둘 수 있는데 프로토타입을 이용하면 쉽게 속성 값들을 추가할 수 있다. let protoFunc = function() { this.name = 'leo'; this.age = 25; } let obj = new protoFunc(); // new 연산자로 프로토타입 기반의 인스턴스 생성 protoFunc.prototype.address = '주.. 2020.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