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고록20

[2020.11.22] 11월 셋째주 회고록 이번 한 주는 서버와 리액트에 대해서 공부했다. 조금 고생한 한 주 이긴 했지만 저번 주에 비해 공부량이 훨씬 늘어나 뿌듯하기도 했다. 또한 그동안 밀렸던 블로깅도 대부분 완료해서 뿌듯한 한 주가 되었다. 리액트는 저번에 조금 해봐서 어느정도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괜찮겠다 싶었는데 전혀 아니었다. 예전에 좀 잘못 배웠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번에 공부하면서 다시 개념을 잡고 이해하고 클론 코딩을 진행해보니 확실히 달랐다. 그리고 서버 개발 공부도 조금 진행했는데 원하는 url로 요청을 보내고 요청에 맞게 응답을 내보내 주는 것을 배웠다. 순수 node.js로 제작하다가 미들웨어를 적용시켜서 express.js도 이용해보고 body-parser와 cors를 이용해 좀 더 손쉬운 방법으로 제작도 해보았다.. 2020. 11. 22.
[2020.11.7] 11월 첫째주 회고록 벌써 11월이 되었다. 날씨도 많이 쌀쌀해지고 예전에 비해 아침에 더 일어나기 힘들어짐을 느꼈다. 이번 한 주는 지난주들에 비해 좀 늦게 일어났던 거 같다. 예전에는 조금 일찍 일어나서 시작하기전에 준비도 좀 하고 커피도 마시고 아침도 챙겨 먹고 좀 여유로웠는데 지금은 조금이라도 더 자고 싶어서 뒤척이는 한 주가 되었다. 예전의 부지런했던 내 모습이 그리웠다... 다음 한 주는 좀 더 부지런한 한 주를 보내야겠다. 이번 주동안에는 DFS, BFS, 백트래킹 기법에 대해서 배웠다. 한 주동안 고레벨의 알고리즘을 판 느낌이다. 이를 적용하고 활용해보기 위해 N-Queen 문제도 풀어보았다. 처음에 어떤 부분을 재귀로 넘겨야 할지 몰라서 좀 헤맸었는데 그래도 감을 잡고 나니 그 뒤부터는 괜찮았다. DFS는 예.. 2020. 11. 7.
[2020.11.1] 10월 마지막주 회고록 10월 마지막 주를 보내고 드디어 11월이 찾아왔다. 이번 한 주동안 어떤 걸 공부했나 되짚어보니 자료구조(BFS, 해시, 트리구조)와 JS에서의 상속 패턴에 대해서 공부했다. 저번 주의 나와 비교했을 때 이번 주의 나는 그렇게 떳떳하지 않았던 것 같다. 사실 다른 언어에서 이미 자료구조와 상속 패턴에 대해서 공부를 했었기 때문에 이번 한 주가 좀 수월하긴 했다. 수월하다고 해서 공부량을 줄이면 안되는거였는데 지난주와 비교했을 때 공부량이 좀 눈에 띄게 줄어든 것 같았다. 평일에 공부량이 좀 적은 느낌이라 주말에 좀 더 해야지하고 심화된 부분을 뒤로 미뤘는데 주말에도 또 미뤄버렸다. 아주 밀림의 왕이 되어버린 것이다. 아는 내용이 나온다고해서 복습을 소홀히 해선 안되고 시간이 남으면 예습이라도 했어야 했.. 2020. 11. 1.
[2020.10.25] 10월 넷째주 회고록 오늘은 오랜만에 회고록을 준비했다. 저번 주에는 휴식기를 가졌고 이번 주부터 다시 공부에 들어갔다. 이번 주에는 Data-Structure에 대해서 공부했는데 다양한 자료구조에 대해서 공부할 수 있었다. 스택, 큐, 연결 리스트, 해시 테이블에 대해서 공부했는데 오랜만에 공부하는 자료 구조라 헷갈리는 부분도 있었지만 그래도 잘 구현해냈다. 주말에는 복습을 위주로 공부했고 간단한 알고리즘 공부도 진행하였다. 주말에 공부하는 분량도 회고록에 넣기 위하여 금요일에 쓰던 회고록을 일요일로 바꾸었다. 갈수록 공부가 어려워져 시간이 더 들어가긴 하지만 작은 과제를 하나씩 해결할 때마다 뿌듯함이 점점 더 크게 느껴졌다. 또 자료구조를 직접 구현해보면서 이전의 배운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을 복습해볼 수 있었고 배운 부.. 2020. 10. 25.
반응형